[엘르보이스] 무서운 여자가 되자

남자들은 자꾸 나를 후려치려 든다.

얼마 전 술자리에서 친구가 20대 때 사귀었던 남자친구에 관한 얘기를 꺼냈다. “걔는 내가 뭐만 하면 여자답지 않다는 식으로 말했어. 하루는 약속에 늦을까 봐 뛰어갔더니 빤히 쳐다보면서 ‘아…. 난 여자가 땀 흘리는 거 처음 봐’라 하고, 다른 날엔 내가 생수병 뚜껑 따는 걸 보고 있다가 김샜다는 듯이 ‘이런 건 내가 해주려고 했는데’라는 거야. 여자는 병뚜껑도 못 따냐?” 옆에 있던 친구도 예전에 만난 운동선수가 했던 망언을 들려주었다. “내 발목이 자기보다 굵은 것 같다더라? 그리고 며칠 사이 두 번 만난 적 있는데 네일이 왜 지난번이랑 똑같냐고 지적하는 거야.” 우리는 이 저주받을 놈들과 아직도 엮여 있지 않다는 사실에 자축하며 심한 욕을 곁들여 술을 마셨다. 그런데 며칠이 지난 뒤에도 친구가 했던 말이 계속 맴돌았다. “지금 누가 그런 말을 하면 헛소리 말고 꺼지라 할 텐데, 그때는 진짜 나에게 문제가 있는 줄 알았어. 그래서 너무 힘들었고 어떤 상처는 생각보다 오래가더라.”

 
리베카 솔닛의 베스트셀러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에 이어 한국에서 나와야 할 책은 아무래도 〈남자들은 자꾸 나를 후려치려 든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나는 이것이 일부 운 나쁜 여성만 겪는 일이 아니란 걸 알고 있다. 여성 혐오 발언으로 악명 높은 남성 예능인이 토크쇼에서 대학 시절 예쁘기로 소문난 여학생의 외모를 깎아내려서 사귄 적 있다고 자랑스럽게 떠드는 걸 본 적이 있다. 감미로운 발라드를 부르는 남자든 자식 사랑을 어필하는 남자든 예능 프로그램에서 여성 출연자가 뭐만 하면 “무섭다ㅎㅎ”라며 웅얼거리며 초를 치는 모습도 종종 본다. 고작 저런 게 무섭다면 대체 숨은 어떻게 쉬고 사나 싶지만, 그들이 진짜 무서워서 하는 말이 아니라는 것도 안다. 남자들이 여성, 특히 젊은 여성의 일거수일투족에 은근슬쩍 부정적 태도를 드러내는 것은 스스로 평가자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아무 힘도 들이지 않고 관계의 주도권을 잡아 권력을 휘두르는 흔한 전략이다. ‘무서워서’가 아니라 ‘거슬려서’ 하는 말이고, 너는 내가 인정하는 여자의 규범에서 벗어났으니 얼른 그 틀 안으로 들어가라는 뜻이다.
 
문득 좀 더 많은 여성의 경험을 듣고 싶었던 나는 인스타그램으로 소개팅과 ‘썸’, 연애관계에서 여성을 깎아내리는 남자들의 말에 관한 제보를 받아보았다. 딱 24시간 동안 50여 명의 여성이 답을 보내왔다. 예상대로 아모르 파티가 아니라 ‘대환장’ 파티였다.
 
“넌 너무 기가 세” “여자가 기 세면 남자들이 싫어해” 등 과연 지상에서 가장 약한 것이 한국 남자의 ‘기’라는 학설을 증명하는 제보가 제일 먼저 쏟아졌다. “맞는 말인데, 좀 흥분한 것 같아” “네가 조금만 덜 똑똑했으면 좋았을 텐데” 등 여성의 이성과 지성을 의심하고 불필요한 것으로 취급하다 못해 ‘여자’로서는 약점인 양 깎아내린 멍청이들의 사연 중 가장 흥미로운 사례는 다음과 같다. “소개팅남에게 노암 촘스키 책을 본다고 하자 ‘여자가 그런 책 보면 자꾸 따지려고 들어서 피곤한데’라는 말을 들었어요.” 촘스키가 그런 책이면 ‘안 그런 책’은 뭘까, 하루키? “연애는 괜찮지만 너랑 결혼은 안 돼” “넌 연애 상대로는 별론데 결혼하기엔 좋은 타입이야”는 나란히 김칫국 원샷 부문을 석권했다. “넌 애교가 없어서” “조금만 덜 예민하면 인기 많을 텐데” 등 고전적 진상 부문과 “네 얼굴 내가 봐줘서 예쁜 거지 사실 별로야” “친구에게 제 사진을 보여줬는데 안 예쁘다는 반응이 나오자 ‘그래도 착해’라고 말했다며 자랑하듯 전해주더라고요” 등 ‘셀프 개념남’ 등극 부문의 경쟁도 치열했다. 2015~2018년 한정 유행 멘트도 빠지지 않았다. “살짝 비치는 블라우스가 싫다며 입지 말래서 그거 데이트 폭력이라고 했더니 그러더라고요. ‘너 메갈이야?’”
 
무엇보다 가장 많은 사례는 외모에 관한 지적이었다. 화장해라, 살 빼라, 살찌워라 등 이들에게 쏟아진 온갖 말을 읽다가 눈물이 핑 돌았다. “첫 연애 때 ‘얼굴은 예쁜데 비율이 약간 아쉽네’라는 이야기를 듣고 이별 이유는 내 비율 때문인가 하여 7kg 넘게 빼고 생리가 반년 넘게 끊겼어요. 원래도 정상 체중 이하였는데 그냥 무시할걸, 바보 같고 어려서 그랬던 기억이에요.” 나 역시 연애할 때나 연애하지 않을 때나 오랫동안 외부의 남성 시선에 자신을 맞추려 했던 기억이 있기에 그의 마음을 알 것 같았다. 그래서 메시지들을 읽으며 속상하고 분통이 터졌지만, 이제 그들도 나도 그런 말들이 얼마나 헛소리인지 알고 있다는 게 반갑기도 했다. 그리고 2021년에는 어떤 여성도 그 따위 말 때문에 자신을 의심하거나 미워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남자에게 ‘무서워’라는 말을 듣는다면 당신은 잘하고 있는 것이다.
 
최지은_ 10년 넘게 대중문화 웹 매거진에서 일하며 글을 썼다. 〈괜찮지 않습니다〉와 딩크 여성들의 삶을 인터뷰한 〈엄마는 되지 않기로 했습니다〉를 썼다.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구독 신청

관심 없이 지나쳤던 세상의 일면을 들여다볼 때, 우리가 더 강하고 흥미로운 존재가 된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소설가, 북튜버, 아나운서, 싱어송라이터까지! 매주 화요일, <엘르>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반짝이는 이야기로 가득한 <엘르보이스> 시리즈를 보내드립니다. 재치있고 공감 넘치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메일함에서 바로 만나 보세요!


* <엘르보이스> 뉴스레터 기사는 엘르 웹사이트 (www.elle.co.kr)에서 'ELLE 보이스'로 검색하시면 미리 맛보실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들을 업데이트하여 메일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광고성 정보 수신

엘르가 진행하는 제휴 콘텐츠, 프로모션,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성 정보를 수신합니다.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