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쯤 꿈꾼다는 여행지에서의 '썸'에 관하여 || 엘르코리아 (ELLE KOREA)
LOVE&LIFE

한 번쯤 꿈꾼다는 여행지에서의 '썸'에 관하여

휴가지에서 만난 낯선 상대와 사랑에 빠지는 일은 오랜 연애 판타지다.

ELLE BY ELLE 2019.07.23
나는 지금 발리 우붓의 한 에어비앤비에서 글을 쓰고 있다. 창문 밖으로 야자수가 보이고 간간히 도마뱀 우는 소리가 들려온다. 어제는 어깨가 완전히 드러나는 하얀색 비치 드레스를 입고 해변을 거닐었다. 루퍼트 홈스의 ‘Escape’를 들으며 코코넛에 빨대를 꼽아 마셨다. 발리에 온 지 3주가 지났지만 여전히 비현실적이고 더없이 이국적이다. 일상 루틴이라면 아침엔 자전거를 타고 근처 과일 가게로 가서 망고스틴 같은 열대과일을 잔뜩 사오고, 오후에는 바다를 마주하고 진행되는 요가 클래스를 듣거나 근처 리조트에서 스파를 받는 것 정도다. 주말 밤엔 같은 숙소에 묵고 있는 여행자나 발리에 머무는 다른 외국인과 함께 해변에 있는 바를 찾곤 한다. ‘두유노김치?’ ‘BTS’ 같은 한국인 맞춤 주제부터 요즘처럼 파도가 낮은 날씨에 찾기 좋은 서핑 스폿까지 다양한 수다가 오가지만, 역시나 가장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는 연애다. 브라질에서 온 남자와 미국에서 온 여자가 ‘썸’을 탄다거나 독일인 친구와 오늘 낮에 목격한 구릿빛 피부에 탄탄한 몸을 자랑하는 서퍼가 자꾸 생각난다는 등 이런저런 가십을 나누다 보면 마이클 잭슨의 노래 ‘We are the world’의 진정한 의미를 실감할 수 있다. 정말이지 연애는 만국 공통의 관심사다. 특히 이곳 발리에서는 더욱 그렇다. 마치 이 섬의 공기가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것 같다. 게다가 한 달 이상 머무는 장기 여행자들이 많다 보니 카페나 펍에서 서로의 얼굴을 익힌 후엔 틈만 나면 말을 섞기 일쑤다. 술이라도 취하면 자연히 몸을 섞게 된다. 한 통계에 따르면 가장 섹스를 많이 하는 시즌은 크리스마스라는데, 모르긴 몰라도 사건의 발생 빈도로만 보면 이곳은 1년 내내 크리스마스에 버금가는 화력을 자랑할 것이다. 홀리데이 로맨스가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클리셰인 이유가 다 있다. 그만큼 흔한 얘기다. 어찌나 비일비재한지 영어 신조어 사전이라 할 수 있는 <어번 딕셔너리>에서는 ‘홀리데이 로맨스’를 하나의 단어로 등재해 놓았다. ‘휴가지에서 만난 두 낯선 사람 사이의 일시적이고 캐주얼한 관계. 사랑과 혼동할 수 있다.’ 여름과 야자수, 태양, 해변, 무엇보다 나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완벽한 해방감. 이 모든 것이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서울에서는 까다로웠을, 이성을 만나는 기준이 갑자기 ‘이색적인 이름이나 억양을 가진 누군가’ 정도로 전락하는 것이다. 사실 이건 본능에 가깝다. 지긋지긋한 회사에서 수만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가스파르 울리엘’ 같은 이름을 가진 남자와 술을 마시고 음악을 들으며 낯선 언어와 억양으로 이야기를 나누는데 어찌 사랑에 빠지지 않을 수 있겠나?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 연애가 일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무척 낮다(물론 휴가지에서 진정한 사랑을 발견한 이들도 있다. 세상엔 운명이라든가 네이트판, 레딧 같은 게 존재하니까). 기적적으로 물리적인 거리를 극복했다 하더라도 여전히 문화적 거리감이나 지리멸렬한 현실의 문제가 남아 있다. 한 달 뒤면 당신은 그가 냉장고 문을 제대로 닫지 않는다는 식의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차이로 다투게 될 것이고 그때가 되면 신선한 매력이었던 새로운 언어와 문화는 미쳐버릴 것 같은 답답함이나 믿겨지지 않는 무례함으로 바뀌어 있을 확률이 높다. 식전주와 애피타이저, 두 가지의 메인 코스, 디저트를 고르고 즐기는 데 두 시간씩 공들이는 그의 식문화가 매일같이 이어진다면 글쎄, 그건 세련된 이벤트가 아니라 그저 음식에 목숨 거는 푸디스트 정도로 여겨질 거란 뜻이다.
내 주변에도 이런 홀리데이 로맨스의 피해자가 여럿 있다. 포르투갈인인 여자친구 때문에 리스본으로 이사한 J는 한 달이 지나지 않아 그녀가 이별을 통보해 왔다는 비보를 전해왔다. 더 비참한 건 헤어진 지 열흘이 지났지만 타지에서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여전히 여자친구 아파트에서 극도로 어색하게 지내고 있다는 거였다. 유럽 여행 중 파리에서 만난 칠레 남자 때문에 여행 코스를 대폭 수정한 친구도 있다. 비록 계획했던 헬싱키와 스톡홀름에 가진 못했지만 로마의 한 골목에서 그와 함께 먹은 파스타와 니스의 자갈 해변에서 나눠 마신 샴페인은 환상적으로 달콤했다. 돌아온 후에도 간간히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산티아고, 서울 아니면 중간 지점 어딘가에서 로맨틱한 재회를 도모하던 중 한 통의 메일을 받았다. 요지는 이랬다. “그동안 우리는 너무 꿈속에서 살았던 것 같아.” 그런가 하면 지난 10여년간 몰타에서 살다 런던으로 이사 온 M은 거의 홀리데이 로맨스 마스터 급이다. 그에게 몰타는 생활 터전이었지만 도발적인 프렌치 S, 붉은 머리가 매력적이었던 스웨디시 K, 주근깨 가득한 스페니시 A에겐 더없이 아름다운 휴양지였다. 그들은 모두 M과 뜨거운 사랑에 빠졌다. 관계는 짧으면 사흘, 길면 3주 정도 지속됐다. “진지하게 발전된 사람은 없었어? 같은 유럽이면 그렇게 어려운 일도 아니잖아.” 내 질문에 그가 1초만에 답했다. “그들은 진짜 나를 좋아한 게 아니라 어떤 이미지를 좋아한 거야. 그들이 원하는 사람을 그려내고 그 환상과 사랑에 빠진 거지. 휴가 자체가 지겨운 일상에서 잠깐 벗어나는 거잖아. 거기에 정착하면 그건 더 이상 휴가가 아니야.”
사실 홀리데이 로맨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별이 빛나는 밤바다도, 그의 구릿빛 피부나 푸른 눈동자도 아닌 나 자신이다. 내가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은 황홀한 기분이 드는 것 말이다. 냉소를 섞자면, 본래 연애란 반쯤은 환상과 나르시시즘에 기반하는 것 아닌가? 자의적으로 상대방을 해석해 정의를 내리고 그로 인해 자신이, 어쩌면 세상이 특별해진 것 같다는 기분 좋은 착각이야말로 사랑의 본질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홀리데이 로맨스는 거의 사랑과 흡사한 수준의 옥시토신을 만들어낸다. 일단 출발선부터 다르다. 릴레이션십 전문가이자 <데일리 메일> 칼럼니스트인 트레이시 콕스의 말처럼 휴가를 떠나온 ‘나’는 서울에서의 ‘나’와 전혀 다른 사람이기 때문이다. “홀리데이에서는 누구나 알터–에고(Alter–Ego), 그러니까 또 다른 자아를 드러내기 마련이에요. 본래보다 미화되고 과장된 자신, 그동안 꿈꿔왔던 자신으로 변장할 수 있다는 게 휴가의 진정한 미덕이지요.” 영국의 전설적인 극작가 윌리 러셸의 희곡으로 ‘지루한 삶을 살아내던 중년 여성의 홀리데이 로맨스’의 대명사로 사용되던 <셜리 발렌타인>에서 주인공 ‘셜리’가 그리스 남자와 사랑에 빠진 게 아니라 그리스에서의 자신의 삶과 사랑에 빠졌다는 대목이 등장한다. “내가 벌인 유일한 휴가 로맨스는 나 자신과의 로맨스뿐이에요. 그리고 이제 난 정말 나 자신을 좋아하게 됐어요. 만일 내가 날 보게 된다면 ‘저 여자 괜찮은데…’라고 할 것 같아. 역사책에 나오는 대단한 여자는 아니지만 저 여잔 살아 있어.”  그러니까, 홀리데이 로맨스란 내 비치 드레스와 같은 것이다. 어쩌다 보니 서울과 런던을 오가면서 살고 있는데, 둘 중 어느 도시에서든 내가 그 드레스를 입을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깝다. 일상복으로 입기엔 노출 정도와 패턴 모두 지나치게 과감한 것이 평소 내 스타일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그 비치 드레스를 구입한 걸 후회하느냐고 묻는다면 단번에 아니라고 대답할 수 있다. 발리의 바닷가에서 그 드레스는 내게 썩 잘 어울렸고, 나는 꽤 즐거웠으며, 다시 입지 못할지라도 그 드레스가 서랍 구석에 착착 개어져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거면 됐다. 

Keyword

Credit

    글 김희민
    에디터 김아름
    사진 unsplash
    디자인 전근영
팝업 닫기

로그인

가입한 '개인 이메일 아이디' 혹은 가입 시 사용한
'카카오톡,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개인 이메일'로 로그인하기

OR

SNS 계정으로 허스트중앙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UP